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트론: 아레스 리뷰 (줄거리, 명장면, 인기 있는 이유)

by 잔잔바리댄스 2025. 10. 15.

출처: 네이버 영화

<트론: 아레스(2025)> 는 <트론: 레거시> 이후 거의 15년 만에 트론 프랜차이즈의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작품입니다. 요아힘 뢴닝이 감독하고 제시 위구토우가 각본을 쓴 *아레스*는 그리드의 디지털 프로그램을 현실 세계로 가져와 시리즈를 대담한 새로운 영역으로 밀어 넣습니다. 

제러드 레토가 그레타 리, 에반 피터스, 조디 터너-스미스, 제프 브리지스(케빈 플린 역으로 복귀), 길리안 앤더슨 등과 함께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세련된 비주얼과 최첨단 효과뿐만 아니라 정체성, 인공지능, 디지털과 물리적 영역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트론: 아레스>가 극장에서 개봉됨에 따라 많은 팬들과 신인들이 이 작품이 스펙터클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이 트론의 신화를 심화시킬지, 아니면 그 야망에 부딪힐지 궁금합니다. 이 글에서는 줄거리를 살펴보고, 눈에 띄는 장면을 강조하며, 오늘날 영화 환경에서 <트론: 아레스>가 찬사과 비판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1. 줄거리

<트론: 아레스>의 서사는 <트론: 레거시>의 사건 이후 훨씬 뒤에 전개됩니다. 영화는 오리지널 에드 딜린저의 손자인 줄리안 딜린저가 이끄는 ENCOM과 딜린저 시스템즈가 디지털 구조물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경쟁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러한 구조물은 현재 현실 세계에서 붕괴되기 전까지 29분 동안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 ENCOM의 CEO인 이브 킴(그레타 리)은 수십 년 전 케빈 플린이 설립한 알래스카의 외딴 역을 방문하기 위해 세스 플로레스와 협력합니다. 이 역에는 디지털 개체의 시간적 한계를 깨뜨릴 수 있는 '영구 코드'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코드를 발견한 후, 그들은 디지털 오렌지 나무를 현실로 옮기는 데 성공하며, 이 나무는 디지털 생명체가 이곳에 더 영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증거로 몇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한편, 줄리안 딜린저는 새로운 마스터 컨트롤 프로그램(MCP)인 아레스를 주주들에게 "완벽하고 소모적인 군인"이라고 소개합니다. 아레스는 자기 인식의 징후를 보이며 창작자의 무관심에 의문을 제기하고 물리적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표출합니다. 아레스가 예기치 않게 비물질화되자 일련의 사건이 발생하여 이브와 줄리안은 영속성 코드와 지구상의 디지털 존재들의 미래에 대한 통제권을 놓고 다투게 됩니다.

중요한 스토리 스레드 중 하나는 이브의 불안정한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브는 코드에 접근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열쇠가 됩니다. 그리드와 실제 도시를 가로지르는 액션 시퀀스에서 그녀는 아레스, 아테나, 암살자들에 의해 차원을 넘나들며 추격당합니다. 한 순간, 이브가 잡히려는 순간, 그녀는 코드의 유일한 복사본을 들고 있는 드라이브를 파괴하여 코드가 잘못된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습니다. 딜린저는 즉흥적으로 계획을 세웁니다: 이브가 코드를 외우거나 접근했으므로, 그들은 그녀의 기억에서 코드를 추출한 후 제거하거나 삭제할 것입니다. 

이 줄거리는 고개념 공상과학(디지털 대 실제, AI 자율성)과 기업의 음모, 배신, 액션 세트피스를 결합한 것입니다. 트론의 전설을 확장하고자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충분한 숨통을 트지 못한 채 서둘러 스펙터클과 아이디어 사이를 오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명장면

<트론: 아레스>에서 가장 화제가 되고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순간 중 하나는 그리드를 벗어나 실제 도시 환경으로 흘러드는 라이트 사이클 추격전입니다. 지상의 고층 빌딩과 도시 거리는 그리드가 고립되어 있다는 기존의 통념을 깨고 트론의 시그니처 고속 빛나는 차량 전투의 배경이 됩니다. 

그 장면에서 이브는 아레스, 아테나, 그리고 차원을 초월한 암살자들의 추격에 휘말립니다. 그녀는 도시 거리를 질주하며 자동차 사이를 엮고 장애물을 뛰어넘으며 디지털과 물리적 영역의 초현실적인 충돌 속에서 보조를 맞추려고 노력합니다. 촬영은 실제 위치 영상과 네온 효과를 결합하여 트론 미학을 우리 세계와 눈부시게 융합시킵니다.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는데, 궁지에 몰린 이브가 코드를 고정하는 드라이브를 파괴하고 안정성을 희생하며 서사를 통제할 기회를 노립니다. 시각적 요소와 맥박이 뛰는 악보(나인 인치 네일 제공), 사운드 디자인이 결합되어 이 대결을 기억에 남습니다. 한 리뷰어는 이렇게 언급했습니다: "이브가 아레스, 아테나에게 체포될 위기에 처했을 때... 실제 대도시를 빛의 주기로 질주하는 눈부신 추격전 끝에 영구성 코드의 유일한 사본을 들고 드라이브를 파괴합니다."

이 장면은 <트론: 아레스>의 중심 긴장, 즉 디지털 야망과 인간의 결과의 충돌을 담고 있기 때문에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이 장면은 장관이지만 상징적이기도 합니다 - 아레스가 건너가고, 디지털 삶의 연약함, 이브의 희생. 많은 시청자들에게 이 장면은 영화의 시각적 약속과 주제적 이해관계가 모이는 순간입니다.

3. 인기 있는 이유

<트론: 아레스>가 개봉 이후 흥분과 토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프랜차이즈 향수와 브랜드 파워
트론은 수십 년 동안 열성적인 팬층을 쌓아왔으며, 오랜 공백 끝에 시리즈가 돌아온 것은 호기심, 유산적 매력,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팬들은 빛의 순환, 그리드 분위기, 현실과 디지털 존 사이의 긴장감과 같은 상징적인 요소가 살아남고 확장되는지,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자레드 레토가 아레스 역에 캐스팅되고 제프 브리지스가 복귀한 것은 디즈니가 <트론: 아레스>가 주요 작품이 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음악에 나인 인치 네일스가 참여하면서 <트론: 레거시>에서 다프트 펑크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어 신선한 오디오 흥미를 더해줍니다.

2. 시각적 스펙터클과 기술적 야망
<트론: 아레스>의 비주얼을 강조하지 않고는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프로그램이 물리적 현실로 도약한다는 아이디어는 그리드의 네온 미학을 실제 환경과 결합하여 눈에 띄는 효과를 무한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리뷰어들은 종종 영화의 디자인, 조명, 액션 세트 작품을 비평할 때에도 찬사를 보냅니다.  분해되기 전까지 제한된 시간(29분) 동안 존재하는 구성 요소의 개념은 긴장감을 고조시키기도 하는데, 이는 장면에 긴박함을 더하는 내장 카운트다운입니다. 견고한 환경과 병치된 이러한 구성 요소의 시각적 붕괴는 우리 세상에서 디지털 라이프의 취약성을 강조합니다. 

3. 오늘날 기후에서 AI 테마의 관련성
2025년에는 인공지능, 정체성, 디지털 윤리, 기계와 인간의 경계에 대한 대화가 그 어느 때보다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트론: 아레스*는 이 시대정신을 강조합니다: 현실로 들어가는 프로그램은 자율성, 통제, 그리고 삶을 반영하는 창작물을 대하는 방식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관객들은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불안감에 공감하는 공상과학에 매료됩니다. 그렇긴 하지만, 비판적인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 야망과 장관을 칭찬하고, 어떤 사람들은 스토리가 얇고, 속도가 고르지 않거나, 캐릭터가 덜 발달했다고 생각합니다. <트론: 아레스>는 현재 로튼 토마토에서 55%의 시청률을 기록 중이며, 관객과 비평가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 정체성, 유산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 영화의 역량은 영화의 인기를 높여줍니다. 부정적인 반응도 대화의 일부가 되어 그 소란이 무엇인지 더 많은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트론: 아레스>는 디지털 갈등을 현실 세계로 전환하여 이야기를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는 대담하고 시각적으로 야심찬 트론 프랜차이즈의 단계입니다. 이 이야기는 모든 비평가를 완전히 만족시키지는 못하지만, 높은 가치를 지닌 주제, 미적 스펙터클, 현대적 도전과의 관련성은 시청자들이 기꺼이 참여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를 제공합니다.

오랫동안 트론의 팬이든, 이 프랜차이즈가 지속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는 신입이든, <트론: 아레스>는 도시 풍경을 질주하는 라이트 사이클, 디지털 전사들이 구체화되고 분해되는 모습, 그리고 우리의 창작물이 스크린에서 벗어날 때 다음 단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도덕적 질문 등 영화적인 요소를 제공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트론: 아레스>는 단순히 시리즈를 되살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가상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세상에서 AI와 정체성의 미래를 상상하게 합니다.